앞선 칼럼에서 벤처기업 임직원의 경우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시 세제혜택이 있다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.
[3천만원 이하 비과세 특례, 5년간 세금을 나눠서 내는 납부특례]
스톡옵션, 벤처 스타트업이 발행하는 경우 세금 혜택
최근 대기업을 나와 벤처 스타트업으로 자리를 옮기는 분들이 주변에 많이 보입니다. 벤처 스타트업이 가진 역동성이나, 유연하고 수평적인 기업문화, 대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주어지는 업
www.roitax.kr
그런데 스톡옵션 받을 때는 벤처기업이었는데, 2~3년 근무 후 행사하려고 보니 더 이상 벤처기업이 아닌 경우에도
이러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?
정답은 부여시점에 벤처기업이었다면
행사시점에는 벤처기업이 아니어도 이러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.
【문서번호】 서면-2021-법령해석소득-4303, 2021.10.14
【질의】
(사실관계)
o 질의법인은 벤처기업에 해당할 때 임직원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으나,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때인 ‘21.6.16. 임직원이 당초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함
- 질의법인의 벤처기업 해당기간 : ‘18.3.22 ∼ ’20.3.21
(질의내용)
o 임직원이 「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」(이하 ‘벤처기업법’)§2①에 따른 벤처기업(이하 ‘벤처기업’)으로부터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았으나,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때 부여법인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경우,
- 그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에 대하여 조특법상 비과세특례(§16의2), 납부특례(§16의3)의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 및 비과세특례 적용시 그 적용범위
【회신】
「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」제2조제1항에 따른 벤처기업(이하‘벤처기업’)으로부터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았으나 이를 행사할 때 그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법인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되었다 하더라도, 「조세특례제한법」제16조의2, 제16조의3에 규정된 각각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라면 해당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이며, 같은 법 제16조의2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2018.1.1.일부터 2019.12.31.까지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함으로써 얻은 이익 중 연간 2천만원, 2020.1.1.부터 2021.12.31.까지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함으로써 얻은 이익 중 연간 3천만원 이내의 금액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과세하지 않는 것임.
written by 로이세무회계
세무 상담, 계약 방법 : 로이세무회계
고객님께서 처한 세금 문제에 관해, 깊이있는 세무 상담을 약속드립니다.
www.roitax.kr
'세금 칼럼 > 재산 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부터 부동산 증여시 취득세 대폭 인상 (0) | 2021.12.08 |
---|---|
2022년 귀속 해외주식 양도세 총 정리 (기본공제, 환율) (0) | 2021.12.07 |
상장주식, 비상장주식의 세법상 시가 판단 (0) | 2021.12.01 |
부동산 임대업자가 알아야 할 세금계산서 발급 기준 (0) | 2021.11.15 |
법인이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부담해야 하는 세금 (0) | 2021.11.10 |
댓글